vCenter에서 추가로 Alarm을 정의할 때, 여러 가지 Scenario에 따라 event를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원하는 event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래 경로에서 원하는 event가 있는지 추가로 확인 해볼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lamw/vcenter-event-mapping/blob/master/vsphere-7.0u3.md
GitHub - lamw/vcenter-event-mapping
Contribute to lamw/vcenter-event-mappi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만약, Storage Connectivity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Alarm event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 Storage Connectivity가 복구되었을 때에도 Alarm event를 이용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Network Connectivity가 복구될 때에 대한 Alarm event는 있지만 Storage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위에 말씀드린 링크에 가서 원하는 event가 있는지 검색을 해 볼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Storage Connectivity가 Restore 되는 event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만약 Storage Connectivity에 문제가 생겼다가 원복 될 때 모두 Alarm event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default event가 아닌 경우에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1) Storage Connectivity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2) Storage Connectivity가 복구된 경우
위와 같이 vCenter Alarm을 설정한 상태에서 다음 테스트를 진행하여 검증을 하였습니다.
1. ESXi Host에 할당되어 있는 iSCSI Datastore와의 연결을 끊기 위해서 iSCSI Target Server(Windows) 쪽의 Firewall 설정에서 iSCSI Traffic을 Block 처리합니다.
2. iSCSI Traffic을 Block 처리하고 나면, 다음과 같이 vCenter에 Stoage Connectivity 관련 Alarm이 기록됩니다.
3. 다시 iSCSI Traffic을 허용하면 다음과 같이 Restore Alarm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pu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read ConfigStoreDB (0) | 2022.11.15 |
---|---|
How to collect guest os memory dump using vmss2core (0) | 2022.11.02 |
How to get a live VMkernel core dump (0) | 2022.10.27 |
Reverse lookup for SMTP service (0) | 2022.10.24 |
VMTools version 확인 및 Download (0) | 2022.10.07 |